본문 바로가기
퐁장군의 모든것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34위 (공동 3팀)

by 퐁장군 2022. 12.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강아지들의 지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이 새로운 명령어를 몇 회 만에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난번에 똑똑한 강아지들의 지능 순위 1~10위까지는 새로운 명령어를 5회 이하 반복 시에 명령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다

고 합니다.

27위부터 39위까지는 새로운 명령어를 15~25회 반복했을 때 명령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지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34위 (공동 3팀)의 순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동 34위] 뉴펀들랜드

뉴펀들랜드

 

뉴펀들랜드 섬에서 유래한 이 강아지는 16세기 노르웨이 사냥꾼이 데려간 마스티프 계통의 강아지와 뉴펀들랜드 섬의 토착 개를 교배시켜 탄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10세기의 바이킹과 함께 다니던 강아지, 16세기 프랑스 어부가 데려온 `그레이트 피레니즈`의 조상이라는 설 등이 있습니다.

 

목양이나 인명구조 경찰견, 군용견등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키워지는 강아지들 중에서도 큰 체격을 자랑하는 초대형 사역견으로 분류됩니다.

특히나 수상 인명구조에서는 탁월한 성과를 나타내서 영국 해안의 인명구조 초소에는 두 마리의 뉴펀들랜드 강아지를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여겨질 정도였습니다.

체격이 크고 힘이 너무 좋아서 작은 배정도는 육지로 끌고 다닐만큼 힘이 장사이고 나폴레옹 1세가 항해 도중

 

물에 빠졌을 때 배 갑판에서 뛰어내려 구한 것을 공로로 인정받은 적도 있습니다.

큰 체격에 비해서 성격이 굉장히 신사적이고 유순하여 마당이 있는 집의 가정견으로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공격적이지 않은 성격이긴 하지만 지능이 매우 높기 때문에 낯선사람과 보호자를 최대한 분리시키려고 하고 여차하면 공격하는 절제력도 보여줍니다.

특히나 집에 물이나면 경고를 해서 집주인을 구했다는 말이 가장 많이 들리는 강아지이기도 합니다.

[공동 34위] 오스트레일리언 테리어

오스트레일리언 테리어

원산지가 오스트레일리아인 이 강아지는 영국 테리어를 조상으로 영국 이외의 지방에서 교배를 통해 작업견으로 만들어진 품종 중의 하나입니다.

특유의 아름다운 모습과 지역적인 특생이 더해져 공식품종으로 발표되자마자 많은 애견인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수컷 기준 체고 24~25cm 몸무게 5~6kg의 소형견으로 황갈색의 이중모를 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 꼬리의 경우는 생후 1주일내에 단미를 시행하여 짧게 유지하는데, 최근에는 단미를 하지 않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활동적인 성격을 가진 이 강아지는 항상 달리고 뛰고 장난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마당에서 기른다면 반드시 강아지가 일정 지역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울타리가 필요합니다.

지능이 높아서 훈련 이수능력이 상당히 뛰어나지만 반대로 높은 지능으로 인해 한 가지의 놀이에 쉽게 싫증을 내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가 여러 가지 다양한 놀이로 즐겁게 놀아주어야 합니다.

[공동 34위]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
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강아지의 정보를 더 자세히 알수 있습니다.

미국이 원산지인 이 강아지는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유입된 스태퍼드셔 테리어를 더 큰 품종으로 개량한 강아지입니다.

곰이나 황소, 개들과의 싸움을 목적으로 품종 개량된 투견으로 힘이 굉장히 강하고 체격 또한 굉장히 다부진 것이 특징입니다.

 

수컷 기준 체고 46cm 몸무게 24~31kg의 근육질로 뒤덮여있으며 매우 짧은 털이 특징입니다.

체력이 매우 강하고 활동성이 좋아 많은 활동량을 필요로 하며 투견의 특성상 낯선 사람과 다른 강아지들에게 상당히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인사사고를 일으키는 강아지로도 매우 유명하며 공격적인 성격에 높은 지능까지 더해서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31위~33위

안녕하세요.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강아지들의 지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이 새로운 명령어를 몇 회 만에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난번에 똑똑한 강

leehope1104.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