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에게 정기적으로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다면 걸릴 수 있는 무서운 질병들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간단한 경구약으로 해결되는 질병도 있지만 무지개 다리는 건너는 치명적인 질병들도 많으니 반드시 예방접종을 하도록 합시다.
[1] 백신접종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강아지를 분양을 맞고 나면 첫해에는 5~6회에 걸친 종합백신과 광견병 및 인플루엔자 백신을 통해 많은 질병과 유행병들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체에 따라서는 백신을 접종했다고 하더라도 항체의 생성이 느리거나 생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간단한 항생제 투여만으로 회복하는 가벼운 질병이 있는 반면 일단 걸리면 사망까지 얼마 걸리지 않는 질병들도 있어 보호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강아지가 걸릴수 있는 질병과 유행병
광견병
사람과 강아지간의 전파가 가능한 아주 위험한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국가에서도 엄격히 관리되고 있는 질병입니다.
특히나 광견병은 사람에게 전파 시 매우 치명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보호자라면 반드시 1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광견병 예방접종을 의무적으로 해주어야 합니다.
초기 : 눈을 불완전하게 움직이며 쉽게 흥분하며 잘 짖고 잘 문다
중기 : 짖는 소리가 계속 반복되며 전신을 가볍게 떨며 아래턱에 마비가 일어나고 침을 흘린다
말기 : 턱 및 혀에 마비에서 후반신으로 마비가 진행되며 결국에는 전신으로 마비 증상이 오며 사망
인플루엔자
흔히 독감이라고 말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으로부터 강아지가 감염될수 있는 전염력이 매우 높은 질병입니다.
다행히 치사율이 낮고 치료가 쉬워 큰 걱정은 안 해도 되지만 강아지끼리의 전염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 내에서 한번 유행하면 초토화되는 일도 일어나기도 합니다.
고열, 기침, 콧물, 식육부진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보호자가 병원만 적절히 데려간다면 비교적 쉽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켄넬코프
강력한 호흡기 질환으로 아직 면역력이 갖추어지지 않는 어린 강아지들이 많은 곳이나 예방접종을 제때 하지않은 곳에서 많이 걸리는 전염병입니다.
대부분의 펫샵에서는 거의 2차까지 의무적으로 맞기 때문에 최근에는 보기 힘드나 가정 분양이나 강아지 공장 등에서 바로 가정으로 오는 경우는 예방접종 시기를 놓칠 수 있어 감염되기 쉽습니다.
켄넬코프의 증상은 마른기침, 구토, 코열, 콧물, 재채기 등이 있으며 눈 주변에 진물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폐렴으로 진행될수도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성 장염
강아지의 소화기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적절한 면역력이 없다면 쉽게 감염되기도 하며 전파력도 굉장히 높아서 펫 샵이나 병원에서 경계하는 전염병중의 하나입니다.
설사, 혈변, 고열, 식욕부진, 무기력등의 증상을 보이며 단순 감기로 착각하다 시기를 놓쳐 사망에 이르게 되는 질병이기도 합니다.
홍역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으로 치사율이 50%가 넘는 아주 무서운 전염병입니다.
안구 염증, 고열, 눈코 입에서의 분비물, 기침, 설사, 호흡저하 등 안 아픈 곳이 없으며 경련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염성 간염
전염성이 높은 질환으로 간에 문제를 일으킵니다.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백신예방접종만이 살길입니다.
파보바이러스 장염
강아지에게 가장 치명적인 질병으로 일단 걸리면 회복하기가 상당히 힘듭니다.
구토, 설사, 무기력, 발열증상을 동한 하는 이 질병은 치사율이 90%가 넘기 때문에 강아지를 키우는 보호자 입장에서는 가장 경계해야 하는 질병입니다.
렙토스파이로시스
이미 감병된 강아지의 배설물을 통해서 빠르게 감염되는 질병입니다.
신장쪽으로 상당한 타격을 줘서 회복을 하더라도 영구적으로 신장쪽에 문제를 앓고 살아가야 할수 있습니다.
보통 산책을 하면 다른 강아지들의 배설물의 냄새를 즐겨 맡는 강아지들의 특성상 백신만이 살길입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정기적인 종합백신만 투여한다면 보호자가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높은 확률로 예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간혹 예방접종비용이 아까워서 광견병만 투약하는 보호자분들이 있는데.... 양심이 있다면 치킨 사 먹지 말고 백신 접종해줍시다.
강아지 예방접종 및 접종시기 바로가기
'퐁장군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사회화 훈련은 언제부터 해야할까? (11) | 2022.10.31 |
---|---|
강아지 백신 예방접종 종류와 시기 (7) | 2022.10.30 |
강아지 귓병 원인과 증상 예방법을 알아봅시다. (10) | 2022.10.28 |
강아지 털 알레르기 원인과 증상 그리고 해결방법은? (14) | 2022.10.27 |
강아지 무는 버릇 이유와 해결방법 (13) | 2022.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