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가 맞아야 하는 백신의 종류와 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1] 강아지도 예방 접족을 해야 하는 이유는?
최근 코로나로 인해서 백신예방접종의 관심도가 크게 올라갔습니다. 코로나 백신뿐만 아니라 대상포진이나 폐렴, 독감 등 혹시라도 감염될지도 모를 질병들을 대처하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예방접종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강아지도 각종 질병들에 대해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생후 첫 예방접종과 1년마다 정기적으로 맞아야 하는 예방접종은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특히나 어린 강아지들에게는 생사와 직격 되면 무서운 전염병도 있기 때문에 생후의 6차까지 이어지는 첫 예방접종을 통해 항체를 만들어주는 것이 매우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2] 강아지 첫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
회차 | 백신 종류 | 접종 시기 |
1차 | 종합백신 및 코로나 | 6주~8주 사이 |
2차 | 종합백신 및 코로나 | 8주~10주 사이 |
3차 | 종합백신 및 켄넬코프 | 10주~12주 사이 |
4차 | 종합백신 및 켄넬코프 | 12주~14주 사이 |
5차 | 종합백신 및 인플루엔자 | 14주~16주 사이 |
6차 | 광견병 및 인플루엔자 | 16주~18주 사이 |
펫 샵에서 분양받을 경우에는 대부분의 강아지들이 생후 2개월~3개월 사이의 시간이 경과하기 때문에 2차까지는 펫샵에서 의무적으로 접종을 했을 것입니다.
정상적인 펫 샵이라면 분양자에게 분양받는 강아지의 백신 접종 이력을 말해주어야 하며 만약 말해주지 않는다면 반드시 물어봐야 합니다.
분양을 받았다면 언제 백신을 맞았는지 일정을 계산하며 다음 접종을 늦지 않게 추가로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의 시기와 가격은 병원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가급적이면 어린 강아지가 힘들지 않도록 집에서 가까운 곳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 접종 시 주어지는 강아지 예방접종 일지는 반드시 잘 보관하셔서 혹시라도 다른 곳에서 예방접종을 받을 때 시기를 헷갈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3] 매년 맞아야 하는 예방접종
종합백신
종합백신은 강아지에게 가장 중요한 백신으로 처음에는 항체 생성을 위해 4~5회 정도 접종을 하고 그 이후부터는 면역력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 매년 정기적으로 1회 추가 접종을 해야 합니다.
강아지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전염병들을 한꺼번에 예방해주는 아주 고마운 백신입니다.
- 홍역
- 전염성 간염
- 파보 바이러스성 장염
- 파라인플루엔자
- 렙토 스파이 로시스
광경병 백신 역시 1년에 한 번 정기적으로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심장사상충 예방약과 외부기생충약은 매월 정기적으로 1회 반드시 투약해야 합니다.
[4]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수많은 임상실험을 거쳐 안정성이 확보된 백신이긴 하지만 개체에 따라서 약물 자체의 과민성 반응으로 인한 쇼크 나 발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백신 접종 후에는 바로 집으로 가지 말고 30분 정도 병원에서 머물면서 상황을 관찰하는 것이 긴급한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좋은 방편입니다.
접종 후에도 하루나 이틀 동안 얼굴이 크게 붓는다거나 몸이 붓는 부종현상이나 호흡을 잘하지 못하거나 과호흡 상태가 오면 빠르게 병원을 방문해서 조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없더라도 백신 접종 이후 두드러기, 발진, 구토, 설사 같은 증상이 있으면 의사와 상의해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접종 후에는 대부분의 강아지들은 힘이 없고 피곤해합니다.
접종 당일에는 야외 산책을 자제하며 집에서 맛있는 간식과 함께 푹 쉴 수 있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백신은 부작용이 많고 위험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백신을 맞지 않고 치명적인 질병에 노출되는 것보다는 훨씬 안전합니다.
고로 강아지를 정말로 사랑한다면 정기적인 심장사상충과 외부기생충 그리고 종합백신 및 광견병 주사는 필히 접종하도록 합시다.
(광경병 예방접종은 안맞으면 벌금 물어요~)
강아지 질병 및 전염병 알아보기
'퐁장군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마개가 필수인 로트와일러 특징과 단점 (8) | 2022.11.03 |
---|---|
강아지 사회화 훈련은 언제부터 해야할까? (11) | 2022.10.31 |
강아지 질병 및 전염병을 알아봅시다. (12) | 2022.10.29 |
강아지 귓병 원인과 증상 예방법을 알아봅시다. (10) | 2022.10.28 |
강아지 털 알레르기 원인과 증상 그리고 해결방법은? (14) | 2022.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