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퐁장군의 모든것

페키니즈 특징 성격 단점을 알아보자

by 퐁장군 2023. 1. 2.
반응형

페키니즈

고대 중국 왕실에서 기르던 몸집이 매우 작은 가정견으로 베이징을 상징하는 강아지라고 해서 페키니즈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페키니즈의 특징 및 성격

시작을 알 수 없을 정도로 그 역사가 오래된 견종이지만 가장 오래된 문헌의 기록을 따져보면 8세기 당나라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수세기 동안 중국 왕족이나 고위 귀족들은 큰 개를 작은 개로 만들어 소매 속에 넣고 다니는것을 좋아했는데, 그 결과로 페니키즈, 퍼그, 시추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1860년 제2차 아편전쟁에서 영국이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황궁을 약탈하게 되었고 그 와중에 페키니즈의 품종을 영국으로 데려가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베이징을 상징하는 개라고 해서 페키니즈라는 이름이 지어 졌으며, 재미있는 설화로는 사자가 부처를 찾아가 자신의 크기를 줄여달라고 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화가 있습니다.

 

수컷기준 체고 15~23cm 몸무게 3~6kg의 소형견으로 옆으로 길고 납작한 얼굴에 짧은 주둥이가 매력포인트 입니다.

퍼그와 시츄와 달리 의외로 털이 긴 장모털을 가지고 있으며 아래로 쳐지는 장식털이 관전포인트입니다.

털빛은 모든 색이 가능하지만 붉은색, 엷은 황갈색, 검은색, 흰색등이 보편적으로 우리가 자주 볼 수 있는 색입니다.

 

고대 왕실에서 키워진 강아지답게 평소에도 우아함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물론 놀 때는 물불안 가리고 사정없이 놀지만요....

독립성이 강하고 작은 체구이지만 용감해서 낯선 사람이나 대상을 상대로 잘 물러서지 않습니다.

 

또한 경비견으로 활용될 만큼 경계심이 강하기는 하지만 보호자나 가족구원성에게는 충성스럽고 다정스러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헛짖음이 적고 조용한 성격에 혼자서 뭔가 깊은 생각에 빠져있는 착각에 들만큼 조용히 잘 있습니다.

 

지능은 다소 높은 편이긴 하지만 독립심이 강한 탓에 훈련이수율을 조금 떨어지는 편이며 다른 반려동물과는 어려움 없이 잘 지내는 편이지만 사람과는 그렇지 못해서 사회화교육이 꼭 필요한 견종으로 분류됩니다.

사육난이도는 강한 독립성만 제외하고는 보통의 수준이며 보편적으로 건강하며 먹는 음식량도 적어서 급여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장점입니다.

 

실내에서는 다소 활발한 편으로 장난기가 넘치지만 의외로 산책은 그렇게 좋아하는 편은 아니라서 오랜 시간을 산책할 필요는 없습니다.

페키니즈의 단점

페키니즈는 단두종의 특성을 그대로 물려받아서 온도가 높거나 습도가 높으면 숨을 쉬기가 힘들어집니다.

따라서 여름이나 겨울철에 적절하게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서 숨쉬기 좋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그리고 짧은 주둥이 때문에 수면 중에 코를 골수도 있으니 애교로 넘어가줍시다.

 

페키니즈는 털이 잘 엉키는 편이라서 매일매일 보호자의 관리가 필요한 편입니다. 최근에 분양되고 있는 페키니즈의 경우에는 과거와 달리 털이 다소 짧게 개량되어 나오기는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잘 엉키는 털은 어쩔 수 없습니다.

 

얼굴에 주름이 많은 단두종들은 주름 사이사이에 먼지나 이물질 등을 잘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박테리아가 서식하기 매우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자칫하다가는 피부질환으로 번질 수도 있으며 안구질환까지 겹칠 수 있습니다.

 

허리에 비해 다소 짧은 다리로 인해서 허리 쪽의 부상에 상당히 취약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나 소파나 의자 등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지 못하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1위~5위

안녕하세요. 과거에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1위~10위까지를 포스팅했으나 순위에 오른 강아지의 설명이 다소 부족한 감이 있어 좀 더 순위를 세분화하여 다시 포스팅하였습니다. 포스팅을 준

leehope1104.tistory.com

 

 

독립심 및 독립성이 강한 강아지 순위

독립심 및 독립성이란 무엇일까? 강아지를 키우는 사람들이 흔히 착각하는 것이 독립성이 강하면 혼자 있어도 외로움을 잘 타지 않고 오랜 시간 혼자 방치해도 된다라고 착각들을 하곤 합니다.

leehope1104.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