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치킨` 은?
`먼치킨` 고양이는 다른 고양이들에 비해 역사가 굉장히 짧은 편입니다.
`먼치킨`(Munchkin)은 오즈의 마법사에 등장하는 난쟁이인 `먼치킨`에서 유래된 말로 `난쟁이` 혹은 `작은 키`를 의미하는 단어라고 하네요.
`먼치킨`의 유래는 정확하지는 않아서 영국이나 러시아에서 발견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현재 우리가 보편적으로 볼수있는 `먼치킨` 고양이들은 1983년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서 태어난 고양이의 후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태어난 고양이새끼들 중에서 유독 다리가 짧은 고양이가 있었는데, 이 개체를 품종 개량하는 과정에서 `먼치킨` 고양이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이 같은 매우 짧은 역사 때문에 아직까지 대다수의 고양이협회에서 정식 모종으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다고 하네요.
마치 `닥스훈트` 나 `웰시코기`를 연상케 하는 긴 허리와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는 `먼치킨`은 외형적으로 다른 고양이와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먼치킨`은 다정다감한 성격으로 애교가 많고 보호자와의 교감을 중요시합니다.
장난치는 것도 좋아해서 어린아이들과 잘 놀아주며, 활발하고 호기심이 강해 집안 곳곳을 탐험하며 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재미있는 것은 `먼치킨`은 집안에 빛나는 물건을 무척이나 좋아하고 집착하는데, 자신이 발견한 빛나는 물건은 한 곳에 숨겨놓고 모으려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같은 성격 탓에 해외에서는 "까치"라는 별명이 생겼다고 하네요.
(금붙이가 없어졌다면 배우자가 팔았을 거라 짐작 말고 `먼치킨`부터 심문합시다.)
[2] `먼치킨`의 단점은?
1. 다른 고양이와 합사시 주의
대체로 반려묘를 키우시는 보호자들은 두 마리 이상을 키우시는 경우가 많은데 `먼치킨`의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짧은 다리와 긴 허리 때문에 다른 고양이들보다 동작이 느리고 점프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서열 경쟁에서 밀리는 모습을 많이 보여줍니다.
특히나 고양이들은 앞발을 이용해 `냥냥 펀치` 다투는 경우가 많은데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숏 팔 이리라서..... 거리싸움에서 일방적으로 두들겨 맞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ㅠ.ㅠ)
2. 고양이 답지 않은 분리불안
대체로 불리불안은 보호자와의 교감능력이 좋은 강아지에서 많이 발현되지만 `먼치킨`의 경우도 그에 못지않게 불리불안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양이는 대체로 혼자 있는 걸 좋아한다`라는 편견을 깨는 것인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불리불안 둔감화` 훈련을 통해 해결하도록 합시다.
3. 높은 곳에서 점프 금지
고양이들은 높은 곳을 좋아하며 뛰어내리는 것을 즐기지만 다리가 짧고 허리가 긴 `먼치킨`의 경우에는 다리 관절이나 허리 등에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4. 유전병
태생 자체가 짧은 다리는 형성하는 `연골무형성증` 유전적 돌연병이 개체를 품종 개량한 것이기 때문에 유전병에 취약합니다.
상대적으로 체고에 비해 허리가 길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척추 쪽의 질환이 많은데 `먼치킨`이 앓을 수 있는 대표적인 척추질환은 `척추전만증`입니다.
이는 척추를 잡아주는 근육의 생성이 원활하지 않아서 척추가 내려앉으면서 폐와 심장을 압박하는 병입니다.
`디스크`질환은 심심치 않게 일어나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5. 비만
다른 고양이들보다 활동력이 적고 움직임이 느리기 때문에 살이 찌기 쉬운 체형입니다.
더군다나 허리가 길기 때문에 체중 증가는 허리에 주는 부담을 더 키울 수 있어 체중관리는 꼭 필요합니다.
마치며...
집에 있는 시간이 적고 출퇴근이 일정하지 않아서 반려묘를 선택하시는 분들에게는 `먼치킨`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생각보다 불리불안을 호소하는 상황을 많이 접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 유전적 질환은 숏 레그+숏 레그나 숏 레그+스콜 티쉬 폴트의 경우만 아니라면 그렇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네요.
고양이보다는 `닥스훈트` 나 `웰시코기`의 고양이버전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좋을듯합니다.
아!! 산책을 안 해도 되니 조금 낫긴 하겠네요 ㅋㅋ
'고양이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 고양이가 먹어도 될까? (32) | 2022.09.28 |
---|---|
`수박` 고양이가 먹어도 될까? (48) | 2022.09.25 |
`러시안 블루` 반려묘로 선택시 알아야 할 점 (60) | 2022.09.21 |
`랙돌` 반려묘로 선택시 알아야 할 점 (17) | 2022.09.20 |
`포도` 고양이가 먹어도 될까? (3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