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퐁장군의 모든것373 똑똑한 강아지 지능 순위 24위~26위 안녕하세요.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강아지들의 지능을 테스트하는 방법이 새로운 명령어를 몇 회 만에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난번에 똑똑한 강아지들의 지능 순위 1~10위까지는 강아지들은 새로운 명령어를 5회 이하 반복 시에 명령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다고 합니다. (속 썩이는 자녀들보다 낫네요...?) 11위부터 26위까지는 새로운 명령어를 5회~15회 반복했을 때 명령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지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5회~15회 반복 시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마지막 그룹인 24위~26위까지의 강아지들을 준비했습니다. [24위] 아이리시 워터 스패니얼 아일랜드가 원산지인 `아이리시 워터 스패니얼`입니다. 전통적인 사냥개로 길러졌던 스패니얼 종은 `워터 스패니얼.. 2022. 9. 16. `진돗개` 반려견으로 선택시 알아야 할 점 한국은 대표하는 강아지 `진돗개` 잘생긴 외모와 늠름한 체격 그리고 높은 지능까지 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매력덩리인 `진돗개` 출생의 비밀이 많아서 더 흥미진진한 `진돗개`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1] `진돗개`는? `진돗개`의 유래와 역사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것들이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조사를 통해 유추해볼수 있는 게 고작인데 그래서 더 흥미진진한 것 같습니다. 사실 우리 한국의 선조들은 `군마`를 제외하고는 동물들을 특수한 목적으로 사역하는 일은 없었습니다. 주인이 군인이면 군견이되고, 주인이 사냥꾼이면 사냥개가 되고 뭐 그런 식이었죠. 혹 반려견으로 `진돗개`를 키웠더라도 목줄을 매어놓는 것이 아닌 밥만 주는 형태로 `진돗개`도 아침밥만 먹고 밖에 나가 자유롭게 들개들과 놀아가 밤이 되면 .. 2022. 9. 16. `사모예드` 반려견으로 선택시 알아야 할 점 [1] `사모예드`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툰드라 지방에서 생활하던 사모예드족이 기르던 강아지로써, 사냥과 썰매 등 혹독하고 척박한 환경에서 사람들의 각종 노동을 도와주는 강아지였습니다. 유럽에서 극지 탐험이 유행하던 20세기 초에 극지 탐험용 썰매개를 원주민들에게 배우는 과정에서 유럽으로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사모예드가 처음 유럽으로 들어올 당시에는 갈색과 흑색의 `사모예드`가 많았지만 인기가 많았던 백색 사모예드만을 한정적으로 교배시키므로 지금의 흰색 사모예드가 가장 보편적인 색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수컷 기준 체고는 51~56cm 몸무게는 20~25kg의 대형견이며 잘 발달된 근육질의 몸을 하고 있습니다. 귀는 쫑끗 곧게 서는 것이 매력포인트이며, 털은 척박하고 추운 시베리아 지방이 원산지인 만큼.. 2022. 9. 15. `시바견` `시바 이누`반려견으로 선택시 알아야 할 점 강아지계 엄살의 대표주자 `시바견` 아이유도 저리 가라는 3단 고음의 소유자 `시바견` 중형견으로 국내에서도 방송과 매체들을 통해 자주 접하게 되어 우리들의 눈에 매우 익숙한 강아지 `시바견` 오늘은 `시바견` 반려견으로 선택시 알아야 할 점들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1] `시바견`은? 일본의 대표적인 강아지인 `시바견`은 기원전 300년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아주 고대의 강아지입니다. 주로 산간 지방의 작은 야생동물 등을 사냥하기 위해서 개량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부터 사냥개로 키워졌기 때문에 `시바견`은 시각과 후각이 매우 뛰어나며 사냥에 필요한 감각들이 예민한 편입니다. 1937년에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고 과거 2차 세계대전 때는 멸종 직전까지 갔다가 20세기 초반에 세 가.. 2022. 9. 14.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94 다음 반응형